고금리 환경이 계속되는 가운데, 내년 한국 증시의 운명을 가를 핵심 변수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떠올랐다. 증권사들은 각자의 예상에 따라 엇갈린 내년 증시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연준의 금리인하, 증시의 운명을 좌우할까?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연준의 '피봇(통화정책 방향 전환)'이 늦춰지면서 상반기에도 반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상반기는 통화정책과 미국 대선 이벤트에 따른 불확실성이 수그러들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불확실성이 하반기의 회복을 가로막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사들의 다양한 전망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9개 증권사 중 한국투자, NH투자, 삼성, KB, 하나, 메리츠, 신한투자, 키움, 대신증권은 내년 코스피 지수가 평균 2230~2750포인트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3000포인트 돌파를 예상한 곳은 없었으며, 상단 예측에서는 키움증권이 2900포인트를 제시했고, 가장 보수적인 한국투자증권은 2650포인트를 추정했습니다.
연준의 금리인하, 불확실성의 중심
증권사들이 공통적으로 지목한 내년 증시의 핵심 변수는 단연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입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달 정례회의 이후 금리인하에 대해 언급한 이후 시장에서는 '긴축 종료'로 받아들여져 증시가 급등했습니다. 그러나 연준 위원들의 확대해석 경계로 인해 통화정책 방향과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증시 전망, 상반기는 부진, 하반기는 개선?
고금리 장기화로 상반기에는 부진이 예상되지만, 대선 이후에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내 증시는 상반기에는 둔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내년 금리인하는 기정사실화되었지만,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당분간 시장을 억누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양한 시나리오
한편, 삼성증권과 하나증권은 'N자형' 흐름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상반기에는 고금리로 인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실적 개선으로 상승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2~3분기 중 금리인하 이후에는 조정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KB증권은 연초에는 짧은 둔화 후 연중 랠리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금리가 지속될 경우 경기에 압박을 가할 것으로 보이며, 연준이 금리를 내리기 시작하면 다시 증시가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말에는 다시 인플레이션 압박이 재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인 전망
다양한 증권사들의 전망을 종합해보면, 내년 증시는 연준의 금리인하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상반기에는 고금리로 인한 부진이 예상되지만, 연준의 금리인하로 하반기에는 회복의 조짐이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러나 불확실성 요소가 여전히 존재하므로 투자자들은 시장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