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커피 8200원, 소비자 등 돌리다
본문 바로가기

음식.맛집.요리.레시피

스타벅스 커피 8200원, 소비자 등 돌리다

스타벅스

커피 가격 인상, 소비자의 반응은?

최근 스타벅스의 커피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미국 아이다호주 주민 앤드루 버클리는 스타벅스에서 즐겨 마시던 모카 커피 가격이 6달러(약 8200원)를 넘어서자 스타벅스를 끊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는 이제 집에서 직접 커피를 내려 마시거나 더 작은 커피 체인점을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움직임은 스타벅스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의 매출 감소

영국 BBC 방송은 최근 스타벅스가 고물가와 불매운동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올해 초 스타벅스의 전 세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으며, 특히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는 최소 1년 이상 영업한 점포의 매출이 3% 줄었습니다. 이는 2009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또한, 충성도가 높은 '스타벅스 리워드 회원' 수가 전 분기 대비 4% 줄어들면서 스타벅스의 위기는 더욱 심각해졌습니다.

중동지역 불매운동의 영향

스타벅스의 최고경영자(CEO)인 락스먼 내러시먼은 최근 콘퍼런스콜에서 중동 지역에서의 '잘못된 정보'가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습니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10월 발발한 가자지구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이스라엘 정부와 군에 자금을 댄다는 의혹이 퍼지면서 불매운동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당시 스타벅스는 노조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팔레스타인 지지 게시물을 올린 후 고객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자사의 평판을 훼손했다며 노조를 고소해 논란이 되었습니다. 스타벅스는 이스라엘과의 관련성을 부정했지만, 불매운동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쟁업체와의 가격 비교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분석가 새러 세나토레는 스타벅스의 가격 인상이 경쟁업체에 비해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불매운동을 제외한 다른 요인으로 최근의 매출 감소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스타벅스에 대한 실망감이 단순히 가격 인상 때문만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합니다.

스타벅스의 대응 전략

스타벅스는 신메뉴 출시 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매출 감소를 극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락스먼 내러시먼 CEO는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다시 끌어올리려 하고 있지만, 레이철 루게리 스타벅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 전략이 성과를 내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았습니다. 한편, 스타벅스는 지난 4월 30일 발표한 1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하고, 순이익은 무려 15%나 줄어들었으며, 1분기 스타벅스 미국 매장을 찾은 방문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 2010년 이후 가장 큰 분기별 감소폭을 보였습니다.

결론

스타벅스는 가격 인상과 불매운동, 그리고 고물가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히면서 매출이 감소하고 있으며, 충성도 높은 고객들조차 등을 돌리고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신메뉴 출시와 같은 새로운 전략으로 위기를 극복하려 하고 있지만,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스타벅스가 이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