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세와 삼성전자의 하락세
작년 10월, 엔비디아의 주가가 '고점'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망설여 엔비디아 주식을 매수하지 않았다고 한 신동윤 기자의 고백이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그 결정이 현재로서는 후회스러운 선택으로 비치고 있다. 현재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GPU(그래픽처리장치) 분야에서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손꼽히며 주가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의 엔비디아 주가는 9일에 1.70% 상승하여 531.40달러에 도달했다. 더불어 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 제품 대량생산 소식이 전해져 미래 성장 가능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중국용 반도체 칩의 대량 생산 계획을 발표하며 이미 전날에는 6.43% 급등하여 5거래일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바 있다.
새로운 제품 발표와 시장의 반응
엔비디아는 최근에 성능을 한층 개선한 그래픽카드(GPU)인 RTX 4070 슈퍼, RTX 4070 Ti 슈퍼, RTX 4080 슈퍼 등 세 가지 제품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엔비디아는 이들 제품이 미국 정부의 중국 수출 제한 규정에 영향받지 않을 것이라 강조했다. 이러한 성과는 미 증시 대표 반도체 지표인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에도 반영되어 시가총액 1위인 엔비디아의 오름세가 덕분에 해당 지수는 0.05% 상승한 4046.65를 기록했다.
반면에 삼성전자는 국내에서의 증시에서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의 주가 하락은 작년에 비해 큰 폭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가총액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하락하면서 국내 증시 전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과 실적 부진
지난 2일에는 7만9600원까지 올라가며 '8만전자'를 기대하게 했지만, 단 불과 5거래일 만에 7만4000원대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에는 개장 직전에는 1.57% 상승한 7만7700원으로 출발하였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장중 낙폭을 키워나가면서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미국 반도체 업체인 엔비디아의 사상 최고가가 영향을 미치면서 시장 기대를 밑도는 실적으로 해석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4.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분기 대비 15.23% 증가한 수준이지만, 전문가들의 예상치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메모리 재고자산 평가손실 환입 규모가 작아지고, 파운드리 및 시스템LSI 사업부에서의 실적 회복이 더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망과 투자 의견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와 함께 AI용 반도체 수요 급증 등으로 올해 중장기적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주가를 10만원까지 높이는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여러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현재 상황에서도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 전망이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