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IE의 보고서에 따르면 틱톡은 사용자의 IP, GPS, 개인 식별정보, SIM 카드 기반 위치 정보, 단말기 정보, 주소록, 문자메시지 등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하는데, 이는 중국 정부가 '안보상 당국의 정보 수집 활동' 명목으로 접근할 수 있다. 즉 틱톡 앱을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정보가 무단으로 중국 정부에 넘겨지는 셈. PIIE는 이러한 정보들이 서양인의 얼굴 인식 성능을 향상하고 여론 조작이나 스파이 활동에 사용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글로벌 타임즈, 즉 중국 정부는 중국의 기술 발전이 미국을 위시한 서방세계의 헤게모니에 도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겁을 먹는다며 이를 히스테리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이미 틱톡이 미성년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한 것은 사실로 밝혀졌으며 미국 정부 또한 TikTok의 무분별한 정보 수집을 우려하고 있다. 화웨이도 그렇듯이 TikTok 또한 중국 정부에 친화적인 SNS 기업이며 빅브라더스급 정보 수집 통제를 목표로 하는 중국 정부에 모르는 사이 외국인들의 정보가 넘어갈지도 모르는 우려이다.
쿨한 중국 정부의 입장과 다르게 PIIE가 이 건을 화웨이 사태에 버금가는 보안 이슈라고 설명한 것을 보면 미국 내에서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듯하다. 실제로 미군 병사가 병영에서 틱톡 앱을 사용한 사건 등을 고려한다면 미국으로서는 이러한 보안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연방통상위원회에서 역대 처벌 중 가장 최고 수위인 벌금 60억 원을 부과했다. 본 메신저도 위챗과 비슷한 중국 정부의 법제화된 검열과 감청(국가정보법 등)을 피할 수 없다. 위챗에 적용된 보안 문제가 TikTok에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 사회에서 불안감 높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서버와는 분리된 글로벌 서버 도입 및 틱톡 글로벌 본사 설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틱톡을 역설계한 엔지니어에 따르면 다른 소셜앱보다 압도적으로 많은양의 개인정보가 줄줄 샌다고한다. 미국에선 틱톡을 사용하는것이 위험시되고있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