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가 한 가정의 안사람으로서 가족을 내조하고 안에서 운영한다면 아버지는 바깥사람으로서 외조하고 가족의 외부에서 경제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외부의 위험으로 부터 가족을 보호하는 것이 전통적인 가부장하에서의 가족의 모습이었다. 그러한 면모는 전통적인 가족상이 많이 변화한 지금도 어머니와 아버지의 이미지에 대한 원형으로 남아있다. 다만,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는 가족 내에서는 소외되고 이해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경우가 많이 발생했다. 어머니는 대부분의 시간을 집안에서, 가족에서 보내게 되었다.
고된 노동의 시간이지만 공유하는 부분이 아버지를 제외한 가족들, 즉 자녀들과 대단히 많고 친밀감을 쌓기도 쉬웠다. 하지만 아버지의 주 활동 영역은 바깥사람답게 자신의 직장이었다. 즉 대부분의 경우 이윤을 내기 위한 조직인 기업에서 종사하게 되고 가족들과 공유하는 시간이 적었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들과 이해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자신의 직장에서 행동하는 상명하달식의 사회관계나 직장 상사로서의 위치를 가족에게도 적용하려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크고 작은 갈등의 소지가 되었다. 혹은 직장에서 얻는 피로로 집안에서는 주로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경우는 특별히 아버지가 나쁘다기 보다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컸었다.
예전에는 가부장제로 가정 안에서의 절대 권력자였다. 생각해보면 아버지는 돈을 벌어오는 사람임으로 원천적으로 가장 강력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 더해 성인 남성임으로 아들이 사춘기를 지나기 전까지는 가족 전원이 아버지에게 덤비는 막장스러운 상황이 발생해도 힘으로는 아버지를 못 이긴다. 가장 강력한 물리력의 소유자인 셈. 이런 아버지의 권력은 제우스를 제외한 모든 신이 다 덤벼도 이길 수 없다던 제우스의 강력한 권위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지금은 그 권력의 구조가 많이 변화하였다. 주부의 노동에 대한 경제적 가치도 상당히 인정되었으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함께 여성의 사회 참여가 많아지고 지식 기반의 사회로 이행해감에 따라 교육에서 폭력을 사용할 이유도 많이 약해졌기 때문. 오히려 요즘은 때려봤자 애 기만 죽인다고 대화로 해결하려는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자식(들)이 유학갈 때 어머니도 같이 가서 아빠는 혼자 한국에 남아서 돈을 버는 형태인 기러기 아빠도 많아진 실정이고 그에 따른 문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