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금융기관 경고...부동산 PF 부실에 대한 강조와 구조조정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4년 금융감독원 업무계획' 기자간담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연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정리를 위해 결연한 모습을 보였다. 부실 사업장에 자금이 묶이는 '돈맥경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조정에 강한 의지를 표명하며, 금융회사들에게 단기 실적주의를 경계하고 리스크 관리 소홀을 용납하지 않을 것을 경고했다.
금감원의 강력한 메시지: 단기 이익 추구에 경계
이복현 원장은 단기적인 이익 추구에 경계를 표명하면서, 금융기관들이 소비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행태에 대해 시장에서의 퇴출을 언급했다. 특히, PF 집중 투자와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등을 비판하며 고객 이익을 외면하거나 정당한 손실을 미루는 행위에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동산 PF 부실 정상화: 금감원의 믿음과 전망
금감원은 레고랜드 사태 이후 금융시장 여건이 안정화되어 부동산 PF 부실을 해소할 적기가 왔다고 판단한다. 현재의 금리 상황을 고려하여 부실 사업장을 구조조정함으로써 자금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고 전망하며, 부실 사업장이 저가에 팔리면 분양가 하락으로 사업성을 회복하고 향후 생산적인 부문에 투자할 자금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금감원장의 기타 주요 발언과 전망
이복현 원장은 이날 무죄 판결을 받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관련하여 "사법 리스크를 일단락시키는 계기"로서의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홍콩 H지수 ELS 불완전판매와 관련하여 자율 배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소비자 입장에서 금융사들이 자발적으로 일부라도 배상한다면 좋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금감원의 새로운 길, 부동산 PF 부실 정상화를 향한 철저한 대비
이복현 원장의 강력한 메시지는 부동산 PF 부실에 대한 정상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금감원은 리스크 관리와 소비자 보호를 중시하며, 부동산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테크.금융.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