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81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79)
부산 사람도 잘 모르는 비빔당면이 부산 음식? 비빔당면은 삶은 당면에 길게 썰은 어묵, 단무지 그리고 채소를 얹고 고추장 양념을 비벼먹는 부산지역의 음식. 줄여서 '비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정작 부산 사람들은 먹지도 먹어보지도 않은 방송 한정 부산음식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원래 부산 전체에서 즐겨먹는 메뉴도 아니라 깡통시장 시장통에서나 있던 음식이 남포동 권역 전체가 관광지로 유명해지다보니 외지인,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명물처럼 소개가 된 것이라, 그 외 지역에 살던 대부분의 부산 사람들도 먹어본 적도 없는 경우가 많다. 비슷하게 부산 사람은 거의 안 먹는 유명한 부산 음식으로 옛날부터 동래구 인근에서나 먹었던 동래파전도 있지만, 동래파전은 그래도 가성비가 나빠서 욕 먹을 뿐 역사성과 특징이라도 있지 비빔당면은 들어가는 재료나..
마초에게 입털다 개쪽당한 조조 연의에서 한수의 부하들로 등장하는 수하팔부는 별로 비중이 없지만, 정사에서는 모두 관중의 유력 군벌들이었다. 봉기했을 때 마초군이 장안성을 함락시켰다는 것도 허구. 곧바로 동관으로 군사를 휘몰아 조조와 승부를 벌인다. 동관 전투에서는 마초의 용맹함이 과장되어 이통을 찔러 죽이고 조조를 추격하자 조조가 도망치면서 붉은 전포를 벗어던지고 수염까지 자르는 장면이 창작된다. 여기에서 정신없이 부랴부랴 도망친다는 뜻의 할수기포(割鬚棄袍)라는 사자성어가 생겨났다. 정사에서 이통은 마초에게 죽은 게 아니고 조조가 수염을 자르는 장면도 없다. 중간에 웃통을 벗은 허저와 일기토를 하는 장면이 있지만 창작이다. 마초는 허저와의 싸움을 통해선 "그 용맹이 지난날 여포에게도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조조의 찬사를 듣는다. 가후..
네모난 똥을 싸는 동물 '웜뱃' 생긴것도 귀요미 웜뱃의 서식지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남부와 태즈메이니아. 웜뱃이라는 이름은 현재의 시드니 지역에 살던 Eora라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이 동물을 부르던 이름에서 따왔다. 멸종등급은 Least Concern(관심대상)이다 초식동물로 풀이나 뿌리를 먹고 살며, 설치류처럼 굴을 파고 살기에 적합한 기다란 앞니와 강한 발톱은 마치 햄스터 같아 보이지만, 유대류답게 육아주머니가 있고 꼬리가 거의 퇴화한 등 코알라와도 신체적 특징이 비슷하다. 성체 웜뱃은 키 1m 가량에 몸무게는 40kg까지 나간다. 코알라보다도 훨씬 크다. 캥거루와는 달리 육아주머니의 입구가 앞쪽으로 향하지 않고 뒷쪽으로 향해 있다. 이는 일반적인 유대류의 육아낭 형태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지만, 이때문에 굴을 팔 때 육아주머니 안으로 흙과 같은..
인도네시아 열대우림이 사라지는 이유 팜유를 얻기 위해 엄청난 환경파괴가 자행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그린피스 등의 환경단체에서는 팜유 사용과 판매를 자제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팜유를 재배하기 위해 건기 동안에 열대우림을 불태우고 기름야자나무를 심는데, 문제는 열대우림을 불태우는 스케일이 매우 거대하다는 것. 2015년에는 엘니뇨의 영향으로 건기가 길게 지속되면서 열대우림 파괴도 심각하게 이루어졌는데, 10월 동안 인도네시아의 일일 평균 탄소배출량은 2300만t으로 미국(1600만t)을 넘어섰고, 세계 1위인 중국(2930만t)의 탄소배출량을 넘어선 기간도 9-10월 중 14일이나 되었다. 숲을 불태우며 난 산불로 10명이 사망했고, 50만 명의 호흡기 질환 환자가 발생했으며 산불로 발생한 연기는 인도네시아는 물론 싱가포르와..
여성 요리사가 드문 이유 우선 요리가 취미 내지 가사 목적이 아니라 직업이 되는 순간 내가 아니라 손님이 원할 때 요리를 해야 한다는 말이 되므로 여기에서 이미 스트레스가 쌓이게 된다. 즉 정해진 시간만큼 일하면 되므로 노동이 규칙적인 다른 직종들과는 달리 노동이 매우 불규칙해진다. 물론 손님이 적게 온다면 스트레스가 덜하게 되겠지만, 그러면 매출이 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손님들을 불특정한 시간에 받아야 하므로 여기에서 매우 고되게 된다. 더 문제인건 한 가지 요리만 파는 식당은 거의 없다는 점이다. 보다 많은 손님들을 잡으려면 다양한 메뉴 취급이 필수이므로 한가지만 줄창 하는게 아니라 여러 요리를 할 줄 알아야 하며, 같은 요리라도 손님이 이런저런 요구를 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5분 대기조 상..
87년생이 접한 최초의 휴대폰 기기가 접히는 형태의 폰. 액정 보호, 넓은 액정과 키패드, 작은 크기의 삼박자를 갖춘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 가장 널리 쓰였다. 대부분의 폰이 폴더폰인 이유로 피처폰을 부르는 용어로도 쓰이고 있으나, 갤럭시 골든, 갤럭시 폴더, LG 와인 스마트, LG 아이스크림 스마트, LG Gentle, LG 와인 스마트 재즈, 삼성 심계천하 시리즈 등의 폴더형 스마트폰도 제작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폴더형 스마트폰이 상당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폴더폰의 시초는 모토롤라의 스타택이다. 이후 외부에 보조 디스플레이를 단 듀얼액정 폴더폰이 대세를 이루면서 폴더폰의 외관은 소소한 진화를 이루게 된다. 얇아지면 내구성이 약해저 두동강이 나긴 하지만, 휴대시 옷맵시를 흐트러지지 않게 극한으로 얇아진 폴더폰이 큰 인..
지하철 노마스크 진상녀 2020년 10월 13일부터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시행됬다.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이나 집회 및 시위현장, 병원과 요양시설 등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을 경우, 최대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30일간의 계도기간을 거쳐, 다음달 13일에 부과된다. 마스크 미착용 외에도 턱스크나 벨브형 마스크를 착용해도 과태료가 부과된다. 단,14세 미만의 미성년자 또는 영유아, 지적장애인의 경우, 과태료 대상에서 제외된다.
한국에서 개발한 썩는 생수병 '플라스틱' PLA는 옥수수와 사탕수수로 만들어 지는 생분해성 수지이다. 세계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중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가수분해 산물이 젖산이라 생체에 독성은 없으나 분해 될때 주변의 pH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기계적 강도는 아주 좋은 편은 아니나 인체에 무해하고 바이오매스에서 생산이 가능하며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장점 때문에 재건수술 시 인체에 삽입하는 부품을 만들 때 널리 사용된다. 더불어 고급형 티백의 재료로도 쓰이고 조직공학 세포를 지지하는 지지체(scaffold)로 자주 사용되며,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재료로도 각광받고 있다.스타벅스에서는 일부 품목의 비닐 포장을 PLA로 교체했다.